자작 NAS 3호기

자작 NAS 3호기 스펙
CPU / RAM i5-7600 / DDR3 16GB PSU MSI MPG A750GF 
80PLUS GOLD
M/B H270M-DS3H CHASIS 半岛铁盒 F10
HBA DELL H310 IT MODE SSD WD SN570 500GB
O/S Debian 11 HDD 14TB HDD x 6ea -> 84TB

 

항목 변경사항
PSU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12V Single Rail -> MSI MPG A750GF 80PLUS GOLD
SSD SAMSUNG PM981 256GB -> WD SN570 500GB
HDD 4TB CMR HDD 9ea -> 14TB CMR 7200rpm HDD 6ea
CHASIS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 半岛铁盒 F10
O/S RHEL8 -> Debian 11

 

기존에 사용하던 36TB 용량도 모두 차서 추가 증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케이스 장착할 수 있는 가능한 하드가 10개 인데 이미 9개를 사용하고 있었어서 더이상 하드 추가보다는 용량 업그레이드가 필요했다.

 

블프딜에 WD 14TB 엘레멘트 외장하드를 구입해서 적출해서 사용했다. CMR에 7200rpm이라 성능도 훌륭하다.

 

업그레이드 하는 김에 SSD도 500GB로 바꿔주었다.

 

파워는 다수의 하드를 사용할 때 선정리의 편리함 때문에 모듈러 제품으로 교체하였다.

 

케이스의 경우 기존 케이스는 하드 장착/분리가 너무 불편해서 무나사 시스템으로 하드를 장착/분리 할 수 있는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로 구입하였다.

 

https://mericrius.tistory.com/86

 

자작 NAS 3호기 半岛铁盒 F10 케이스 리뷰

타오바오에서 발견한 3.5인치 HDD를 10개까지 장착 가능한 케이스이다. 부피가 크고 무거운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한다는 게 리스크가 있었지만 한국에는 HDD를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에

mericrius.tistory.com

 

OS의 경우 RHEL8에서 Debian11로 교체하였다. RHEL8의 경우 개인 사용은 무료라지만 원래 유료라서 레드햇에서 주기적으로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다가 dnf의 자동완성 버그가 짜증나서 Debian으로 교체하였다.

 

RHEL은 서버 사용에 적합하게 세팅되어 나오는 장점은 있지만 Debian에 비해 패키지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서버용 메인보드에는 SATA 포트가 10개 이상 달려 있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 소비자용 메인보드에는 SATA 포트는 보통 6개의 포트가 달려있다.

 

자작 NAS에 6개 이상의 HDD를 장착해야 하거나

 

HDD 용량을 업그레이드해서 마이그레이션 하고자 한다면 SATA 포트는 많이 확보할수록 좋다.

 

4TBx8 RAID-6에서 14TBx6 RAID-6으로 이동하려면

 

SATA 포트가 부족하다면 새로운 나스를 셋업 해서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이동시켜야 한다.

 

반면에 14개의 SATA 포트가 확보되어 있다면 NAS에 14개의 하드를 동시에 연결해놓고 데이터를 직접 카피하는 게 가능하다.

 

여러모로 새로운 NAS를 셋업 하는 것보다는 편리하다.

 

그래서 최소 8포트의 HBA를 확보하는 게 필요하다.

 

문제는 HBA에 시장의 수요가 거의 없다 보니 제대로 된 제품을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Marvell 88SE9215 칩셋이 4포트 SATA를 지원하는데 여기에 1포트-to-4포트 멀티플라이어 JMB575 칩셋을 붙여서 8포트를 구현해 놓은 제품도 있다.

 

JMB575 칩셋의 드라이버를 따로 잡아주지 않으면 4포트만 동작하는 문제도 생기고 포트 멀티플라이어 쪽에 연결된 라인은 SATA 1개의 대역폭을 4개가 나눠 쓰는 만큼 성능의 손실도 발생하게 된다.

 

이 문제에서 가장 깔끔한 해결책은 LSI사의 레이드 카드에 IT 모드 펌웨어를 올리는 거다.

 

서버에서 사용될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품이고 서버 환경에서 오랜 시간 검증받았기 때문에 호환성/성능./안전성 측면에서 최선의 선택지이다.

 

LSI사의 레이드 카드 신품은 최소 40만원 이상의 고가이다.

 

그래서 홈서버 용도로 신품을 구입하는 건 가성비가 안 나오기 때문에 퇴역하는 서버에서 적출한 제품을 중고시장에서 구해서 쓰게 된다. 보통 2~4만 원 사이에서 구할 수 있다.

 

LSI 9211-8i(좌), DELL PERC H310(우)

IT모드를 지원하는 제품의 모델명은 LSI 9211-8i이다. SAS2008 칩셋 기반이며 PCI-E 2.0을 지원한다.

 

DELL PERC H310 레이드 카드는 LSI 9211-8i 모델의 DELL OEM 버전이다.

 

H310에 IT 모드 펌웨어를 올리면 SATA 8포트 HBA로 사용할 수 있다.

 

PCI-Ex8 슬롯 하나로 8개의 SATA 포트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DELL H310을 제품을 추천한다.

 

두 제품은 사실상 쌍둥이라 기능상의 차이는 없지만 H310의 방열판은 금속핀의 텐션을 이용해서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좌측의 LSI사 제품은 플라스틱 푸쉬핀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고제품인 만큼 서버에서 수년간 세월을 보냈기 때문에 플라스틱 푸쉬핀이 삭아서 부서지는 경우가 있다.

 

케이스 내부에서 노후화된 플라스틱핀이 스스로 부서지는 경우 사용자는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내구성 측면에서 DELL 제품이 더 좋다.

방열판 푸쉬핀이 부서진 경우

자작 NAS 2호기 Rev2

자작 NAS 2호기 Rev2 스펙
CPU / RAM i5-7600 / DDR3 16GB PSU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12V Single Rail
M/B H270M-DS3H CHASIS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HBA DELL H310 IT MODE SSD NVME 256GB
O/S RHEL 8 HDD 4TB HDD x 9ea -> 36TB

 

항목 변경사항
HBA DELL H310 IT MODE 추가
HDD 4TB CMR HDD 4ea + 4TB SMR HDD x 2ea -> 4TB CMR HDD 9ea

 

기존에 사용하던 24TB 용량도 모두 차서 추가 증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H270보드에 SATA포트가 6개뿐이므로 추가 증설을 위해서 HBA카드가 필요했다.

 

DELL H310 레이드카드는 LSI 9211-8i의 OEM 버전이다.

 

DELL H310 레이드 카드를 IT MODE 펌웨어로 변경해서 PCI-E슬롯에 장착해 주었다.

 

IT MODE 펌웨어가 올라가면 레이드 카드는 HBA로 동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추가로 8개의 SATA포트를 확보했다.

 

하드를 추가하면서 SMR타입하드를 CMR타입으로 전부 교체해 주었다.

 

SMR타입 하드는 단독 작업중에는 CMR하드와 비슷한 성능을 내지만 다중 작업에서는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순간적으로 20MB/s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4TB하드 9개가 마운트된 모습. 웅장하다!

이제 케이스에 하드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1개 정도 남은 상태라 추가 증설이 필요하면 대용량 하드디스크로 마이그레이션해야할꺼 같다.

'NAS > 1-2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작 NAS 2호기 Rev1  (0) 2021.12.09
자작 NAS 2호기  (0) 2021.12.09
자작 NAS 1호기  (0) 2021.12.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