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RAID6(4+2)에서 디스크 2장을 추가하여 RAID6(6+2)로 증설을 진행 하였다.

 

84TB 단일 볼륨이고 파일시스템은 EXT4이다.

 

큰 볼륨에서 ZFS를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데 100TB 정도는 EXT4도 충분히 안정적이다.

 

2021년 12월 28일에 처음 가동을 시작해서 디스크 2장을 증설하고 현재까지 5,077시간 동안 문제 없이 사용하는 중 이다.

 

엔터프라이즈급 안전성이 필요한게 아니라면 MDADM 소프트웨어 레이드로도 100TB급 볼륨도 충분히 운영 가능한 듯 하다.

자작 NAS 3호기

자작 NAS 3호기 스펙
CPU / RAM i5-7600 / DDR3 16GB PSU MSI MPG A750GF 
80PLUS GOLD
M/B H270M-DS3H CHASIS 半岛铁盒 F10
HBA DELL H310 IT MODE SSD WD SN570 500GB
O/S Debian 11 HDD 14TB HDD x 6ea -> 84TB

 

항목 변경사항
PSU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12V Single Rail -> MSI MPG A750GF 80PLUS GOLD
SSD SAMSUNG PM981 256GB -> WD SN570 500GB
HDD 4TB CMR HDD 9ea -> 14TB CMR 7200rpm HDD 6ea
CHASIS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 半岛铁盒 F10
O/S RHEL8 -> Debian 11

 

기존에 사용하던 36TB 용량도 모두 차서 추가 증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케이스 장착할 수 있는 가능한 하드가 10개 인데 이미 9개를 사용하고 있었어서 더이상 하드 추가보다는 용량 업그레이드가 필요했다.

 

블프딜에 WD 14TB 엘레멘트 외장하드를 구입해서 적출해서 사용했다. CMR에 7200rpm이라 성능도 훌륭하다.

 

업그레이드 하는 김에 SSD도 500GB로 바꿔주었다.

 

파워는 다수의 하드를 사용할 때 선정리의 편리함 때문에 모듈러 제품으로 교체하였다.

 

케이스의 경우 기존 케이스는 하드 장착/분리가 너무 불편해서 무나사 시스템으로 하드를 장착/분리 할 수 있는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로 구입하였다.

 

https://mericrius.tistory.com/86

 

자작 NAS 3호기 半岛铁盒 F10 케이스 리뷰

타오바오에서 발견한 3.5인치 HDD를 10개까지 장착 가능한 케이스이다. 부피가 크고 무거운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한다는 게 리스크가 있었지만 한국에는 HDD를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에

mericrius.tistory.com

 

OS의 경우 RHEL8에서 Debian11로 교체하였다. RHEL8의 경우 개인 사용은 무료라지만 원래 유료라서 레드햇에서 주기적으로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다가 dnf의 자동완성 버그가 짜증나서 Debian으로 교체하였다.

 

RHEL은 서버 사용에 적합하게 세팅되어 나오는 장점은 있지만 Debian에 비해 패키지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半岛铁盒 F10 케이스 리뷰

 

자작 NAS 3호기 半岛铁盒 F10 케이스 리뷰

타오바오에서 발견한 3.5인치 HDD를 10개까지 장착 가능한 케이스이다. 부피가 크고 무거운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한다는 게 리스크가 있었지만 한국에는 HDD를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에

mericrius.tistory.com

 

F10 케이스 리뷰 과정에서 3.5인치 베이 고정이 부실한 단점이 있었는데 피스로 간단히 고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피스 하나로만 고정하기에는 불안해서 보강을 해주기로 했다.

 

3.5인치 베이와 상판 사이에 빈공간이 19~20mm 정도이다.

 

자작나무 합판 18mm + 1T 포맥스를 덧대어서 끼워 넣었다.

 

케이스 윗면에서 나무토막 모서리 4군데에 13mm 피스 4개를 박아서 나무토막과 케이스 윗면을 고정시켰다.

 

25mm 피스 2개를 중앙에 박아넣어서 케이스 윗면+나무토막+3.5인치 베이를 관통하면서 고정하도록 하였다.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강 전 3.5인치 베이
보강 이후 3.5인치 베이

 

타오바오에서 발견한 3.5인치 HDD를 10개까지 장착 가능한 케이스이다.

 

부피가 크고 무거운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한다는 게 리스크가 있었지만 한국에는 HDD를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너무 좁아서 직구를 추진했다.

 

케이스 가격에 46,413원, 배대지 비용 18,900원으로 총 비용 65,313원이 들었다.

 

1. 외관

전체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깔끔하다. 

 

사진을 남기지는 못했지만 바닥쪽에는 먼지필터도 장착되어 있고 후면 PCI 슬롯부 마개부분도 하나는 탈찰식 나머지는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크기

너비, 높이, 길이 실측

  너비 높이 길이 부피(L)
외부 210 495 450 46.8
샤시 210 475 410 40.9

새시 사이즈는 판매자 제원과 일치했다.

 

3. 강판 두께

강판두께 실측

  사이드 패널 후면 메인보드 트레이
강판 두께 0.7T 0.7T 0.5T

사이드 패널과 전후면의 강판 두께는 0.8T 정도로 측정되었지만 도장 두께와 끝부분만 측정한 오차를 감안하면 실제 강판 두께는 0.7T 정도로 예상된다.

 

실제 이 케이스의 무게는 7kg인데 0.8T 철판 케이스의 무게가 9kg 이상인걸 감안하면 순수 철판 두께는 0.7T 정도로 보는 게 맞다.

 

0.7T만 되어도 괜찮은 강도를 보여준다. 실제로 외부로 보이는 사이드 패널과 상단/바닥/전후면 강판의 강도는 괜찮았다.

 

문제는 메인보드 트레이 부분에서 발생했다. 0.61T로 측정되었는데 도장 두께와 오차를 감안하면 0.5T 철판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철판을 손으로 만져보았을 때 사이드 패널에 비해서 현격히 얇고 강도가 약한 게 느껴졌다.

 

 

4. 3.5인치 HDD 트레이

HDD트레이를 고정하는 볼트를 붉은색 원으로 표시

HDD가 최대 10개까지 장착되는 NAS에 사용되는 케이스인 만큼 HDD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고 장착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HDD 트레이는 케이스 바닥면에 4개의 볼트로 고정되고, 후면 메인보드 트레이에 5개의 볼트로 고정된다.

 

반면에 HDD 트레이 상단부는 케이스 상단과 볼트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HDD 트레이 하부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겠지만 상부로 갈수록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HDD 트레이 하단부 고정력 테스트
HDD 트레이 상단부 고정력 테스트
튜닝 이후 HDD 트레이 상단부 고정력 테스트
 

바닥면에 4개의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HDD 하단부는 실제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손으로 흔들어도 전혀 흔들림이 없다.

 

반면에 상단부는 뒷면 메인보드 트레이에 볼트 하나로 고정되어 있는 데다가 메인보드 트레이의 철판 두께도 0.5T로 얇다 보니 손으로 흔들어 보면 트레이 전체가 울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부분은 다수의 HDD 탑재하려고 만든 케이스에서 치명적인 설계 결함이라고 할 수 있다.

 

다행히 간단한 튜닝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HDD 트레이 상단부 고정 튜닝

4x25mm 볼트를 이용해서 케이스 윗면과 HDD 트레이 상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었다.

 

볼트의 끝부분이 튀어나오지만 HDD 장착에 별 문제는 없다.

 

겨우 볼트 한 개 추가했을 뿐이지만 HDD 트레이 상단부가 매우 견고하게 고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면부 후면부 공간과 측면패널 닫은 이후에 SATA선 꺽임 여부

이 케이스의 전체 폭은 210mm이고 후면부 선정리 공간은 28mm이고 메인보드 트레이부터 최대 높이는 180mm 정도이다.

 

측면 장착 방식의 HDD의 경우 SATA선을 위한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SATA선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ㄱ-자 형태의 SATA 케이블을 구매해야 한다.

 

다행히도 이 케이스는 SATA선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5. 마감

손베임 방지 절곡 처리

케이스에 손베임 방지를 위한 절곡 처리가 꼼꼼하게 되어 있다. 이 부분은 칭찬할만하다.

 

마감불량 및 파손된 부분

그러나 문제점도 있었다.

 

전면 베절 상단 왼쪽 플라스틱 핀이 파손된 채로 배송되었다.

 

이 부분은 명백한 불량인데 판매자에게 컴플레인해서 대체품을 받는다 해도 배대지 비용은 내가 내야 하기 때문에 포기했다.

 

전원 버튼이 미세하게 아래쪽으로 1~2mm 정도 내려앉았다. 스위치 위치를 조정해서 해결했다.

 

USB 3.0 포트 위치도 틀어졌는데 이것도 위치를 조정해서 해결했다.

 

배송과정에서 흔들리면서 위치가 틀어진 거 같은데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를 개선해야 한다.

 

우측 사이드 패널 뒤쪽면 절곡이 완벽하지 못하다. 최고급 케이스에서는 용인될 수 없지만 이 케이스 가격대에서 저 정도 굴곡은 이해한다.

 

6. 조립성

조립과정에서 우려했던 부분이 부품이 간섭을 일으키거나 나사구멍 위치에 오차가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특별히 간섭을 일으킨다거나 나사구멍 위치에 문제가 있지는 않았다.

 

하드를 10개까지 풀로 장착했음에도 조립과정에서 별다른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다.

 

7. 결론

케이스에는 오직 성능으로 승부하는 CPU, VGA와 달리 주관적인 취향이 반영되게 된다.

 

개인적으로 필자는 선정리 공간 확보를 위해 사이드 패널이 볼록 튀어나와 있는 것과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투명한 소재로 윈도우를 만든 사이드 패널을 좋아하지 않는다.

 

위의 2가지를 제외하고 국내에서 3.5인치 하드가 10개 이상 들어가는 케이스를 찾으면 선택지가 극도로 줄어들게 된다.  보통은 E-ATX급 보드를 지원하는 빅타워를 구매해야 한다.

 

홈서버 특성상 공간 효율도 감안해야 하는데 쓸데없이 큰 케이스를 쓰는 것도 싫어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필자의 기준을 맞추는 케이스를 찾을 수가 없었다.

 

다른 대안은 5.25->3.5 베이 케이지를 사서 미들타워 케이스의 HDD 베이를 확장하는 방법도 있지만 14테라급 고용량 하드의 장착 호환성이 떨어지는 케이스들이 대부분이라 선택지가 사실상 없었다.

 

단종된 중고 케이스를 구해야 하는데 몇 년에 한 번씩 나오는 매물을 언제까지 기다릴 수도 없어서 현재 케이스를 선택하게 되었다.

 

일부 마감 불량과 설계 상의 결점이 있기는 했으나 간단한 튜닝과 조정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현재시점에서 65,000원에 3.5인치 HDD를 10개 장착 가능하면서 무나사 시스템 트레이를 갖춘 케이스는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번 타오바오 직구는 Best까지는 아니어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근래에 출시되는 DC-DC컨버터 방식의 파워서플라이는 +5V, +3.3V combined 출력이 100~120W정도로 제한된다.

 

HDD를 많이 사용하는 NAS는 +5V 전압의 전력 소모량이 많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가 감당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래 링크의 계산기를 참고했다.

 

OuterVision® Power Supply Calculator: https://outervision.com/power-supply-calculator

 

Power Supply Calculator - PSU Calculator | OuterVision

Power Supply Calculator - Select computer parts and our online PSU calculator will calculate the required power supply wattage and amperage for your PC.

outervision.com

 

표 1. SYSTEM 구성별 전력 소모 추산

  Base SYSTEM1 SYSTEM2 SYSTEM3 SYSTEM4
CPU - i5-11400 i5-11400 i5-11400 i5-11400
RAM - 8GB x 2 8GB x 2 8GB x 2 8GB x 2
SSD - M.2 x 1 M.2 x 1 M.2 x 1 M.2 x 1
HDD - - 7.2K x 6 7.2K x 10 7.2K x 14
PCI-E - - HBA x 1 HBA x 1 HBA x 2
120mm Fan - - 4 4 4
+3.3V[A] 2.1 4.2 5.3 5.3 6.3
+5V[A] 1.6 3.2 6.3 8.5 12.1
+12V[A] 1.1 7.3 13.5 16.4 20.1
+3.3V & +5V [W] 15 30 49 60 81
+12V [W] 13 88 162 197 241
Total [W] 28 117 211 257 322
70% LOAD
+3.3V & +5V [W]
21 43 70 86 116
70% LOAD
+12V [W]
19 126 231 281 345
70% LOAD
Total [W]
40 169 301 367 461
UPS [VA] 100 100 300 500 700

 

표 2. Spin-up시의 SYSTEM 구성별 전력 소모 추산

  Base SYSTEM1 SYSTEM2 SYSTEM3 SYSTEM4
+3.3V[A] 2.1 4.2 5.3 5.3 6.3
+5V[A] 1.6 3.2 6.3 8.5 12.1
+12V[A] @ spin-up 1.1 7.3 19.5 26.4 34.1
+3.3V & +5V [W] 15 30 49 60 81
+12V [W] @ spin-up 13 88 234 317 409
Total [W] @ spin-up 28 117 283 377 490

 

OuterVision® Power Supply Calculator는 M/B의 소비전력을 112W로 다소 과도하게 잡기 때문에 위의 차트 계산에서는 M/B 소비전력을 28W로 조정했다.

 

70% LOAD는 시스템 소비전력이 파워서플라이 최대출력의 70% LOAD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한 권장되는 파워서플라이 정격출력 값이다.

 

i5 CPU에 HDD 10개까지는 소모전력이 257W이다.

 

정격 500W 파워로도 평시 로드율 45~55%에 불과하다.

 

따라서, 3.3V&+5V combined 출력이 100W 이상인 정격 500W 파워로도 충분히 감당 가능하다.

 

HDD가 14개인 SYSTEM4의 경우에도 전체 소모전력은 322W이지만 HDD의 spin-up시에 2초 동안 490W까지 증가한다.

 

500W 정격으로도 spin-up전력까지도 감당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파워서플라이는 여유롭게 쓰는 게 좋기 때문에 SYSTEM4에서는 600W 이상급으로 사용하는 게 좋다.

 

그리고 SYSTEM4에서 3.3V&+5V combined 상시 소모전력이 81W에 달하기 때문에 3.3V&+5V combined 정격출력이 100W급인 파워는 부적합하다.

 

상시적으로 정격의 81%를 사용하는 데다 상황에 따라 USB 디바이스를 추가 연결하면 거의 정격에 근접하는 전력에 도달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SYSTEM4에서는 정격 600W 이상에 3.3V&+5V combined 정격출력이 120W급 파워를 사용하는 게 좋다.

아쉽게 요즘에는 HDD를 많이 달 수 있는 케이스가 거의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HDD의 대용량화, 클라우드&스트리밍 서비스 활성화로 많은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필요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요즘 출시되는 대부분의 케이스는 HDD보다는 그래픽카드와 CPU 일체형 수냉 쿨러를 위한 공간 확보에 공을 들인다.

 

그래서 단종된 제품의 중고품까지 스코프를 넓혀서 최대한 NAS에 적합한 케이스를 찾아야 한다.

 

 

1번. 쿨러마스터 ELITE 334U

 

쿨러마스터 ELITE 334U 대양케이스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케이스, 요약정보 : PC케이스(ATX) / 미들타워 / 파워미포함 / 표준-ATX / Micro-ATX / 측면: 통풍구 / 후면: 120mm 이상 / 너비(W): 193mm / 깊이(D): 495mm / 높이(H): 427mm / 파워

prod.danawa.com

쿨러마스터 ELITE 334U

사이드패널 전면배젤 파워위치 상단 에어홀 5.25 베이 3.5 베이
(HDD장착용)
HDD
장착방향
고용량 하드 호환성
솔리드 무난함 하단 없음 4 5 전면 불가능

 

보이는 3.5 베이는 7개이나 2개는 나사 구멍 위치가 달라서 HDD 장착이 불가능하다.

 

HDD 장착 방향이 전면이라 SATA 케이블이 꺾이는 문제도 없다. 단, HDD 장착/분리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치명적인 단점은 최신 고용량 하드의 나사 구멍이 3개에서 2개로 줄어들면서 3.5 베이 하드를 장착하면 나사를 2개만 고정해야 한다.

 

 

2번.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케이스, 요약정보 : PC케이스(ATX) / 미들타워 / 파워미포함 / 표준-ATX / Micro-ATX / 측면: 통풍구 / 후면: 120mm 이상 / 너비(W): 181~220mm / 깊이(D): 483mm / 높이(H): 420mm

prod.danawa.com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사이드패널 전면배젤 파워위치 상단 에어홀 5.25 베이 3.5 베이
(HDD장착용)
HDD
장착방향
고용량 하드 호환성
솔리드 무난함 상단 없음 4 6 전면 불가능

 

보이는 3.5 베이는 7개이나 1개는 높이가 낮아서 두께 20mm 하드만 장착이 가능하다.

 

1번 ELITE 334U 새시와 다른 점은 3.5 베이 상단 부분의 나사 구명이 HDD에도 호환되게 수정되었다는 점이다.

 

HDD 장착 방향이 전면이라 SATA 케이블이 꺾이는 문제도 없다. 단, HDD 장착/분리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치명적인 단점은 최신 고용량 하드의 나사 구멍이 3개에서 2개로 줄어들면서 3.5 베이 하드를 장착하면 나사를 2개만 고정해야 한다.

 

상단파워라 먼지청소에도 장점이 있다.

 

 

3번. BITFENIX Shinobi

 

BITFENIX Shinobi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케이스, 요약정보 : PC케이스(ATX) / 미들타워 / 파워미포함 / 표준-ATX / Micro-ATX / 측면: 통풍구 / 후면: 120mm 이상 / 전면: 120mm / 상단: 120mm / 너비(W): 181~220mm / 깊이(D):

prod.danawa.com

BITFENIX Shinobi

사이드패널 전면배젤 파워위치 상단 에어홀 5.25 베이 3.5 베이
(HDD장착용)
HDD
장착방향
고용량 하드 호환성
솔리드 무난함 하단 있음 3 8 전면 불가능

 

1번~2번 새시와 다르게 이번에는 3.5인치 HDD 베이를 전부 활용할 수 있다.

 

HDD 장착 방향이 전면이라 SATA 케이블이 꺾이는 문제도 없다. 단, HDD 장착/분리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치명적인 단점은 최신 고용량 하드의 나사 구멍이 3개에서 2개로 줄어들면서 3.5 베이 하드를 장착하면 나사를 2개만 고정해야 한다.

 

 

4번. Fractal Design Define R5

 

Fractal Design Define R5 (Black)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케이스, 요약정보 : PC케이스(ATX) / 미들타워 / 파워미포함 / 표준-ATX / Micro-ATX / Mini-ITX / 후면: 120mm 이상 / 전면: 140mm / 너비(W): 232mm / 깊이(D): 521mm / 높이(H): 451mm /

prod.danawa.com

사이드패널 전면배젤 파워위치 상단 에어홀 5.25 베이 3.5 베이
(HDD장착용)
HDD
장착방향
고용량 하드 호환성
솔리드 훌륭함 하단 개폐식 2 8 측면 가능

 

HDD 장착 방향이 측면이라 SATA 케이블이 꺾이는 문제가 있지만, HDD 장착/분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HDD 측면 장착 방식이라 메인보드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SATA 케이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깊이가 길어져서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는 단점이 존재한다.

 

사이즈가 좀 크다는 단점을 제외하면 내구성, 디자인, 마감 모두 훌륭하다.

 

 

5번. 쿨러마스터 Centurion 590

 

쿨러마스터 Centurion 590 대양케이스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케이스, 요약정보 : PC케이스(ATX) / 미들타워 / 파워미포함 / 표준-ATX / Micro-ATX / 측면: 통풍구 / 후면: 120mm 이상 / 전면: 120mm/ LED / 너비(W): 181~220mm / 깊이(D): 510mm / 높

prod.danawa.com

쿨러마스터 Centurion 590

사이드패널 전면배젤 파워위치 상단 에어홀 5.25 베이 3.5 베이
(HDD장착용)
HDD
장착방향
고용량 하드 호환성
솔리드 무난함 하단 있음 9 0 전면 가능

 

HDD 장착 방향이 전면이라 SATA 케이블이 꺾이는 문제도 없다. 단, HDD 장착/분리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5.25인치 베이 9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3x5.25-> 5x3.5 베이 케이지를 사용하면 하드를 최대 15개까지 장착 가능하다.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 NAS에 제일 적합한 케이스이다.

 

내부구조가 유사한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IGNITION 
마이크로닉스 Smart Server
마이크로닉스 New Smart Server
BRAVOTEC 스텔스
잘만 GS1000
잘만 MS1000
리안리 PC-A17

 

 

 

 

6번. hy/恒煜 4U-H4480

 

hy/恒煜 4U-H4480

사이드패널 전면배젤 파워위치 상단 에어홀 5.25 베이 3.5 베이
(HDD장착용)
HDD
장착방향
고용량 하드 호환성
솔리드 무난함 상단 없음 0 15 전면 가능

 

장점은 5번 케이스보다도 훨씬 좋은 공간 효율성이다. 5번은 5.25베이 때문에 깊이와 너비가 커졌지만 6번은 처음부터 3.5베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훨씬 컴팩트한 사이즈에 15개의 하드를 장착하는게 가능하다.

 

랙타입 케이스이지만 랙 이어를 제거하고 세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발판을 따로 장착해줘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고 케이스 전면부만 도색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7번. 半岛铁盒 F10

半岛铁盒 F10

사이드패널 전면배젤 파워위치 상단 에어홀 5.25 베이 3.5 베이
(HDD장착용)
HDD
장착방향
고용량 하드 호환성
솔리드 무난함 하단 있음 0 10 측면 가능

 

HDD 장착방향이 측면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무난하다.

 

HDD 측면 장착 특성 상 SATA선 정리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결론

 

랙타입이 공간효율성은 가장 좋지만 도색이 안되어 있고 세워서 쓸 때 따로 발판 작업을 해줘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가장 결점없는 케이스는 5번 쿨러마스터 Centurion 590인거 같다.

 

그런데 10년 전에 단종된 케이스라 중고를 구해야 한다. ㅋ

 

7번 半岛铁盒 F10 케이스도 SATA선 정리를 위한 공간이 충분하다면 무난한 선택지가 될 것이다.

 

이름 너비 높이 깊이
3.5
베이
5.25
to
3.5
5.25
베이
HDD
최대
슬롯
체적
/
HDD
HDD
방향
파워
위치
14TB
장착
상단
타공
비고
hy/恒煜
4U-H4480
180 430 480 37.2 15 0 0 15 2.48 전면 상단 O X 도색X
랙타입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185 420 485 37.7 7 6 4 13 2.90 전면 상단 X X 단종
리안리 PC-A17 215 440 490 46.4 0 15 9 15 3.09 전면 상단 O O 단종
쿨러마스터
Centurion 590
210 450 510 48.2 0 15 9 15 3.21 전면 하단 O O 단종
쿨러마스터
ELITE 334U
185 421 485 37.8 5 6 4 11 3.43 전면 하단 X X 단종
BITFENIX
Shinobi
205 460 490 46.2 8 5 3 13 3.55 전면 하단 X O 단종
半岛铁盒 F10 250 475 410 40.9 10 0 0 10 4.09 측면 하단 O O 중국직구
Defime R5 232 451 521 54.5 8 3 2 11 4.96 측면 하단 O O/X 단종

 

이번 14TB 블프 할딧에 힘입어 자작 NAS 3호기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CPU는 인텔 12세대 알더레이크가 22년 1월에 출시하는 만큼 뒤로 미루기로 했다.

 

RAM은 현재의 16기가도 부족함이 없다.

 

SSD는 256GB에서 500GB로 업그레이드한다.

 

운영체제만으로는 큰 용량이 필요 없지만 메타데이터 쌓이다 보면 꽤 용량이 나가는 데다가 임시 작업을 빠르게 SSD에서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용량을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

 

PSU는 기존 500W에서 700W로 업그레이드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500W 파워가 연식이 오래되기도 했고 하드를 10개 이상으로 확장한다면 감당하기 힘들 거 같아서 확장성을 고려해서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 마침 집에 미사용 파워렉스 700W 파워가 있어서 따로 구매할 필요도 없다.

 

HDD는 4TB 9개에서 14TB 6개로 업그레이드한다.

 

하드 별로 파티션을 구성하다 보니 고장 시 데이터 손실의 위험도 크고 하드링크 사용이 제한적이라 파일 정리하기에도 매우 불편하였다. 이번에는 14TB 6개 하드로 RAID-6를 구성하기로 했다. 가용 용량은 36TB(4TBx9)->56TB(14TBx4)로 +55% 증설하게 된다. 14TB 하드는 7개를 구매했지만 1개는 예비용으로 남겨두기로 한다.

 

CHASIS는 가장 큰 고민거리이다.

 

현재 사용 중인 케이스에는 3.5인치 베이 7개, 5.25인치 4개가 있다.

 

3.5인치 베이 최상단 1개는 높이가 낮아서 두께가 20mm짜리 하드만 장착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3.5인 하드의 두께는 26.1mm이다.

 

따라서 총 10개의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은 가능하지만 사이드 패널이 없는 점이 문제다.

 

옆면이 개방되어 있어서 벌레가 들어갈 수도 있고 보안에도 취약하다는 핑계를 대지만 사실 간지(?)가 없어서 바꾸려고 한다. ㅋ

 

이번에 새로운 후보군을 찾아봐야 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