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 NAS 3호기

자작 NAS 3호기 스펙
CPU / RAM i5-7600 / DDR3 16GB PSU MSI MPG A750GF 
80PLUS GOLD
M/B H270M-DS3H CHASIS 半岛铁盒 F10
HBA DELL H310 IT MODE SSD WD SN570 500GB
O/S Debian 11 HDD 14TB HDD x 6ea -> 84TB

 

항목 변경사항
PSU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12V Single Rail -> MSI MPG A750GF 80PLUS GOLD
SSD SAMSUNG PM981 256GB -> WD SN570 500GB
HDD 4TB CMR HDD 9ea -> 14TB CMR 7200rpm HDD 6ea
CHASIS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 半岛铁盒 F10
O/S RHEL8 -> Debian 11

 

기존에 사용하던 36TB 용량도 모두 차서 추가 증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케이스 장착할 수 있는 가능한 하드가 10개 인데 이미 9개를 사용하고 있었어서 더이상 하드 추가보다는 용량 업그레이드가 필요했다.

 

블프딜에 WD 14TB 엘레멘트 외장하드를 구입해서 적출해서 사용했다. CMR에 7200rpm이라 성능도 훌륭하다.

 

업그레이드 하는 김에 SSD도 500GB로 바꿔주었다.

 

파워는 다수의 하드를 사용할 때 선정리의 편리함 때문에 모듈러 제품으로 교체하였다.

 

케이스의 경우 기존 케이스는 하드 장착/분리가 너무 불편해서 무나사 시스템으로 하드를 장착/분리 할 수 있는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로 구입하였다.

 

https://mericrius.tistory.com/86

 

자작 NAS 3호기 半岛铁盒 F10 케이스 리뷰

타오바오에서 발견한 3.5인치 HDD를 10개까지 장착 가능한 케이스이다. 부피가 크고 무거운 케이스를 중국에서 직구한다는 게 리스크가 있었지만 한국에는 HDD를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에

mericrius.tistory.com

 

OS의 경우 RHEL8에서 Debian11로 교체하였다. RHEL8의 경우 개인 사용은 무료라지만 원래 유료라서 레드햇에서 주기적으로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다가 dnf의 자동완성 버그가 짜증나서 Debian으로 교체하였다.

 

RHEL은 서버 사용에 적합하게 세팅되어 나오는 장점은 있지만 Debian에 비해 패키지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한 사이트: 2cpu 스캔|민현기님

 

준비물: rufus, LSI-9211-8i.zip

 

1. rufus를 이용해 FreeDOS가 탑재된 부팅 USB를 제작

 

2. LSI-9211-8i.zip의 압축을 해제해서 USB로 복사 이후 재부팅

 

3. USB non-EFI모드로 부팅

 

4. megacli.exe -AdpAllInfo -aAll -page 20 입력 후 6자리 SAS Address 메모 이후에 재부팅

 

5. USB non-EFI모드로 부팅

6. megarec.exe -readsbr 0 bak-sbr.bin 명령어로 sbr을 백업

7. megarec.exe -writesbr 0 sbrempty.bin 명령어로 sbr을 초기화

8. megarec.exe -cleanflash 0 명령어로 펌웨어 삭제 후 재부팅

 

9. USB EFI모드로 부팅

 

10. sas2flash.efi -o -f 6GBPSAS.fw 명령어로 6GBPSAS 펌웨어로 덮어쓰고 재부팅

11. sas2flash.efi -o -f 2118p7.bin 명령어로 P7 IT 펌웨어를 업로드 한 뒤 재부팅(NVDATA Product ID and Vendor ID do not match. Would you like to flash anyway [y/n]? 이 나오면 y를 입력)

 

여기서부터 Boot ROM을 올릴지 말지 선택지가 존재함.

 

Boot ROM을 올리면 LSI카드에 연결된 디바이스로 OS 부팅이 가능함.

 

부팅 과정에서 HBA의 Boot ROM을 업로드하기 때문에 바이오스 레벨에서 HBA를 인식할 수 있음.

 

단점은 Boot ROM을 업로드하는데 10~2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어서 부팅 시간이 길어지고 메인보드의 롬 용량이 부족하다면 인식이 안될 수도 있음.

 

보통은 메인보드의 M.2 단자에 연결된 SSD에 OS를 올리므로 본인은 Boot ROM은 제외하는 걸 선호함.

 

주의: 여기서부턴 sas2flash.efi를 sas2flash_p19.efi로 바꿔줘야 함.

 

<Boot ROM 제외>

 

12. sas2flash_p19.efi -o -f 2118it.bin 명령어로 P20 IT 펌웨어 업로드

 

13. sas2flash_p19.efi -o -sasadd 5xxxxxxxxxxxxxxx 명령어로 4번에서 메모한 16자리 SAS Address를 추가해주고 재부팅

 

- 끝 -

 

<Boot ROM 포함>

 

12. sas2flash_p19.efi -o -f 2118it.bin -b mptsas2.rom 명령어로 P20 IT 펌웨어와 레거시 부트 ROM을 업로드

 

13. sas2flash_p19.efi -o -sasadd 5xxxxxxxxxxxxxxx 명령어로 4번에서 메모한 16자리 SAS Address를 추가해주고 재부팅

 

14. sas2flash_p19.efi -b x64sas2.rom 명령어로 UEFI Boot ROM 업로드

 

- 끝 -

자작 NAS 2호기 Rev2

자작 NAS 2호기 Rev2 스펙
CPU / RAM i5-7600 / DDR3 16GB PSU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12V Single Rail
M/B H270M-DS3H CHASIS 스카이디지탈 SKY550 블랙번
HBA DELL H310 IT MODE SSD NVME 256GB
O/S RHEL 8 HDD 4TB HDD x 9ea -> 36TB

 

항목 변경사항
HBA DELL H310 IT MODE 추가
HDD 4TB CMR HDD 4ea + 4TB SMR HDD x 2ea -> 4TB CMR HDD 9ea

 

기존에 사용하던 24TB 용량도 모두 차서 추가 증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H270보드에 SATA포트가 6개뿐이므로 추가 증설을 위해서 HBA카드가 필요했다.

 

DELL H310 레이드카드는 LSI 9211-8i의 OEM 버전이다.

 

DELL H310 레이드 카드를 IT MODE 펌웨어로 변경해서 PCI-E슬롯에 장착해 주었다.

 

IT MODE 펌웨어가 올라가면 레이드 카드는 HBA로 동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추가로 8개의 SATA포트를 확보했다.

 

하드를 추가하면서 SMR타입하드를 CMR타입으로 전부 교체해 주었다.

 

SMR타입 하드는 단독 작업중에는 CMR하드와 비슷한 성능을 내지만 다중 작업에서는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순간적으로 20MB/s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4TB하드 9개가 마운트된 모습. 웅장하다!

이제 케이스에 하드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1개 정도 남은 상태라 추가 증설이 필요하면 대용량 하드디스크로 마이그레이션해야할꺼 같다.

'NAS > 1-2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작 NAS 2호기 Rev1  (0) 2021.12.09
자작 NAS 2호기  (0) 2021.12.09
자작 NAS 1호기  (0) 2021.12.08

+ Recent posts